국내 청년들의 교육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고학력 청년 실업률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다.
1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OECD 37개국 청년(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과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OECD의 청년 대학졸업자 평균 실업률은 2009년 6.1%에서 2019년 5.3%로 0.8%포인트 개선됐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5.0%에서 0.7%포인트 늘어났다.
주요 회원국들의 청년 대졸자 실업률 변화를 살펴보면 미국(5.2%→2.4%), 일본(4.7%→2.6%), 영국(3.9%→2.4%), 독일(4.0%→2.6%), 캐나다(5.8%→4.7%) 등이 개선됐다.
같은 기간 청년 대졸자 실업률이 증가한 OECD 회원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8개국뿐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대졸자 실업률을 낮은 순서대로 집계한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2009년 14위에서 2019년 28위로 14단계나 하락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 청년들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2009년 60.6%에서 2019년 69.8%로 9.2%포인트 오르며, 지난 10년간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대졸자 고용률도 OECD 평균을 한참 밑돌았다.
우리나라 청년 대졸자 고용률은 2009년 73.9%에서 2019년 76.4%로 2.5%포인트 상승했으나 OECD 순위는 35위에서 33위로 2계단 오른 채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청년 대졸자 가운데 구직 포기나 취업 준비 등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2019년 우리나라 청년 대졸자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은 18.9%로, 이탈리아(23.1%), 체코(21.1%)에 이어 OECD 내 3위였다.
또한 한경연은 고학력 청년실업이 심각해지는 이유에 대해선 고학력을 요구하거나 제조업 등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2009~2019년 대졸자는 연평균 3.5% 늘었으나, 고학력 일자리로 분류되는 관리자와 전문가, 사무종사자 수는 2.2% 증가했다. 제조업 고용도 연평균 1.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